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 급증…전공의 이탈로 배후진료 부재영향

2 months ago 5
서한기 기자

복지부 "전공의 대거 사직으로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 있지만, 붕괴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응급실 진료 지연 안내

응급실 진료 지연 안내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추석 연휴 기간을 앞두고 응급실 과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1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한 응급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2024.9.1 ondol@yna.co.kr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올해 들어 전국 응급의료기관이 의료인력 부족 등으로 응급실 진료를 제한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띄운 경우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의 대규모 이탈로 특정 진료 과목별로 배후 진료에 차질이 빚어지자, 많은 응급실이 일부 질환 환자를 진료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공지한 사례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진료 제한' 메시지는 응급실 처치 뒤 후속 진료가 불가능한 것을 뜻하며,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종합상황판에 표시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조국혁신당)은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 표출현황' 자료를 전수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대 증원 발표로 전공의가 의료현장을 떠난 2월부터 8월 26일까지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는 총 7만2천411건이나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실에 표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5만9천4건)보다 1만3천407건(22.7%)이나 더 많은 것이다.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 표출 현황 (단위: 건)]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26일 합계
2023년 8,685 8,345 8,608 8,366 8,513 9,516 6,971 59,004
2024년 9,235 9,494 9,977 10,706 10,078 12,311 10,610 72,411
2023년 대비 증가 +550 +1,149 +1,369 +2,340 +1,565 +2,795 +3,639 +13,407
+6.3% +13.8% +15.9% +28.0% +18.4% +29.4% +52.2% +22.7%

※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 시작일시 기준

※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특히 지난 8월의 경우 병원들이 작년 같은 기간(6천971건)에 견줘서 3천639건이나 많은 1만610건의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를 띄웠는데, 이 중에서 전문의 부재 등 의료인력 사유가 3천721건(35.1%)을 차지했다.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김선민 의원은 "이제 곧 돌아오는 추석 명절에는 사건·사고가 잦아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더욱 늘어날 텐데,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그야말로 대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는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전공의 대거 사직으로 응급실 운영에 일부 어려움이 있는 것은 맞지만, 붕괴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지난 4일 응급의료 등 비상 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정부가 너무 낙관적으로 보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과도하게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다"며 "전공의 사직에 따른 대학병원 위기는 사실이고 교수님들도 사직하시지만, 이후 다른 종합병원 등에 취업해서 일하시기 때문에 대한민국 전체 의료는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표출된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의 후속 진료 가능 여부 분석 결과, 9월 3일 기준 27개 질환별 진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은 평균 103곳으로, 하루 전보다 1곳 늘었다.

이는 2월 첫째 주 평시(109곳)와 비교하면 6곳 줄어든 수치다.

전체 409곳의 응급실(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지역응급의료센터 136곳, 지역 응급의료기관 228곳) 중 24시간 운영하는 응급실은 405곳이다. 409곳 중 6.6%에 해당하는 27곳만 병상을 축소해 운영 중이다.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모두 5천925개로 전날과 동일하며, 이는 평시(6천69개) 97.6%에 해당한다.

응급실을 찾는 경증 환자는 감소하는 추세다.

복지부는 전체 응급의료기관 가운데 특별히 운영이 위험한 곳을 기존 23곳에서 25곳으로 늘려 병원마다 담당자를 지정해 직접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나아가 응급의료 역량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더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지난 4일부터 응급의학 전문의 포함된 군의관을 응급실에 파견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9일까지 250명의 군의관을 응급실에 배치 완료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로 응급환자들이 치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헤매는 '응급실 뺑뺑이'를 막고자 지난 3월 초에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응급환자의 전원을 종합적으로 조정하는 '긴급상황실'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이곳은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 등 4개 권역 응급환자의 전원을 지원·조정하는 지휘부 역할을 수행한다.

응급실 의료진이 긴급상황실에 환자의 전원 지원을 요청하면, 환자 중증도와 각 병원의 치료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해 환자를 받을 수 있는 적정 병원을 선정한다.

sh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4/09/05 06:00 송고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