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너무 비싼 가격"…대중화 위해 '지원 필수'[친환경항공유 시대③]

2 months ago 2

일반 항공유보다 3~4배 비싼 가격

향후 의무사용비율 커질 경우 부담 가중

국내 정유사, 전용 설비 없어 '코프로세싱' 활용

SAF 선도국은 이미 항공사·정유사에 지원 제공

[서울=뉴시스]이다솜 기자 = ·
대한항공이 국적 항공사 최초로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를 혼합주유해 운항에 나선다. 아직 혼유 비율이 낮아 단가 부담이 적지만, 곧 의무사용 비율이 높아지는 만큼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AF는 폐식용유, 옥수수, 식물성 유지 등 원료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탓에 통상 일반 항공유보다 3~4배 이상 높은 가격대가 형성돼있다.

이는 의무 사용화를 앞둔 항공사에게는 연료비 부담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통상 항공사는 연료비가 전체 지출의 30%를 차지하는 만큼, 비싼 SAF 사용 비율이 높아질 경우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대한항공을 시작으로 국적 항공사들이 국산 SAF를 통해 국제선 정기운항을 실시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향후 1년간 인천~도쿄 노선에 투입되는 KE719에 주 1회로 전체 항공유의 1%를 국산 SAF로 채워 운항할 예정이다.

아직 혼유비율이 미미해 당분간은 체감하는 연료비 부담 증가가 미미할 것이라는 게 항공사들의 입장이다. 그러나 일부 국가를 시작으로 SAF 혼합사용 의무화와 그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 문제다. 2050년까지 미국은 모든 항공유의 100%, 유럽은 70% 이상을 SAF로 대체하기로 한 상황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SAF 단가가 낮아지기 위해서는 정유사들이 전용 생산 설비를 구축하는 등 규모의 경제가 실현돼야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정부 부처에서도 의무사용화나 비율 등을 조정할 때 단가 안정화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국내에서 SAF 전용 생산 설비를 만든 정유사는 없다. 유일하게 에쓰오일이 오는 2026년 이후 국내 설비 조성을 검토 중인 단계다. 현재는 기존 정유설비에 석유 기반 원료와 동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함께 투입하는 '코프로세싱'(공동처리) 방식으로 소량 생산하고 있다.

다만 SAF는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로 만드는 항공유와 달리 친환경 원료를 활용하는 탓에 기존 설비를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전용 설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 공장을 지어야 하는데, 많은 투자금이 필요해 시장 개화 단계에서는 코프로세싱 방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적인 친환경 기조로 재활용 수요가 많아지면서 친환경 원료 수급이 쉽지 않은 점은 문제다. 미국은 넓은 농장 등에서 옥수수밭을 운영해 원료를 저렴하게 자력 수급한다. 반면 한국은 정유사들이 중국 등 친환경 원료가 생산되는 국가에 투자하며 대응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우스갯소리로 실제 식용유보다 폐식용유 구하는 것이 더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라며 "친환경 원료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졌다 보니 수급도 어렵고 원료값도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조금, 인프라 조성 등 다양한 부문에서 정부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실제로 미국, 유럽(EU), 일본 등 SAF를 먼저 도입한 국가들은 의무 사용화에 발맞춰 항공사·정유사에 대한 지원 혜택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강력한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자국에서 SAF를 생산한 정유사에 갤런당 최대 1.75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있다.

또 다른 정유업계 관계자는 "아직 비싼 원가와 어려운 원료 수급 등 어려움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제도가 필요하다"며 "SAF 생산 시 갤런당 일정 금액 지급이나, 생산 설비 건설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제도를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ad Entire Article